밍키넷: 해외 성인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트위터 > 부모사랑

부모사랑

부모사랑

밍키넷: 해외 성인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트위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천살신강 작성일25-09-28 09:08 조회5회 댓글0건

본문


1. 개요



밍키넷은 대한민국을 포함한 한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성인 사이트입니다. 주요 컨텐츠로는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웹툰, 스포츠토토, 토렌트 등이 있으며, 커뮤니티 활동은 제한적입니다. 사이트는 HTTPS 주소로 운영되며, 해외 서버를 통해 제공됩니다.



2. 접속



밍키넷은 HTTPS 주소를 사용하여 대한민국 내에서 한때 차단되지 않고 접속이 가능했으나, 2018년 이후 정부의 해외 불법 사이트 차단 정책에 따라 VPN을 사용하지 않으면 접속이 불가능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PC나 모바일 환경에서 접속을 위해 우회 경로를 사용해야 하며, 해외 서버로 운영되고 있어 국내 규제에 대해 자유롭습니다



3.합법인가 불법인가


해외에서는 명백히 합법인 사이트로, 성인 컨텐츠가 허용되는 국가에서는 법적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내에서는 HTTPS 차단 이후 사실상 불법으로 간주됩니다. 대한민국은 포르노 자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밍키넷 역시 준 불법 사이트로 취급됩니다.



키워드: 밍키넷, 성인 사이트,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VPN 우회, HTTPS 차단, 불법 사이트, 해외 서버, 대한민국 법, 포르노, 웹툰, 스포츠토토, 밍키넷 새주소, 15



대한민국 교육의 중장기 비전을 제시해야 하는 국가교육위원회가 방만한 예산지출이 도를 넘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수천만 원을 들여 워크숍을 진행하고도 이렇다 할 결과물을 내지 못한 것은 물론 텀블러 등 기념품 구입에 1억원이 넘는 혈세를 낭비했다.
26일 아시아경제가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실과 함께 요청해 받은 '국교위 예산지출 상세내역서'에 따르면, 국교위는 올 상반기에 총 3차례 워크숍을 열어 매회 수천만 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월 열린 1차 워크숍에선 3012만원, 4월 2차 워크숍에선 2240만원, 5월 3차 워크숍에서는 1650만원을 썼다.



상세내역 중 '대관료'가 눈에 띈 네비 거치 다. 국교위는 1차 워크숍에서 1박2일 대관료로 250만원, 2차 워크숍에선 1일 대관료로 1047만원을 썼다. 산술적으로만 봤을 때 10배 차이다. 1, 2차 워크숍은 각각 인천 송도, 서울 강서구에서 열렸다. 비싼 대관료를 지불하면서까지 이곳 호텔서 회의를 진행한 이유로 공항 이용 등 이동을 고려한 장소 선정이라고 추측할 수도 있다. 그러나 1기 국교위 영화제공 원은 "장소, 위치 선정에 별다른 이유는 없다"고 했다. 오히려 지방 위원들은 KTX를 이용했고, 회의가 매주 금요일마다 진행됐기 때문에 '티켓 전쟁'을 벌였다고 전했다. 이 위원은 "위원들이 다른 요일로 일정 변경을 요구했지만 이배용 전 위원장의 개인 일정 등의 이유로 금요일 늦은 오후마다 회의를 열어 위원들이 애를 먹었다"고 했다. 새 국교위에서는 이 해외진출 회의를 매주 목요일에 여는 것으로 바꿨다.
뿐만 아니라 워크숍 때마다 국교위는 업체 용역비, 관리비로 500만~600만원 이상씩 지출했고, 자료집·홍보물 제작 등에는 320만~600만원을 썼다.



국교위의 방만한 운영은 계속됐다. 기관 홍보 물품과 기념품 제작에는 카드사 총 1억600여만원을 지출했다. 출범 초기였던 2023년만 해도 '기관 홍보 물품 혹은 기념품 제작' 명목으로 지출한 비용이 없었지만, 지난해 4월 국교위 기관 홍보 기념품 제작에 2750만원 지출을 시작으로 7월 786만원, 12월 3500만원, 990만원 등을 썼다. 이러한 기조는 올해에도 이어졌다. 지난 6월 국가교육위원회 성과공유회 기념품 제작 비 롯데월드할인이벤트 용으로 2580만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이 큰 비용으로 무슨 기념품을 만들었을까. 강 의원실이 국교위에 추가 자료를 요청한 결과, 제작 기념품은 '텀블러'와 '부채'였다.
국교위는 지난해에 텀블러 제작에 2750만원(500개), 부채 제작에 800여만원(500개)을 쓴 이후 연말에는 텀블러 700개를 또 제작해 3500만원을 썼다. 올해 '국민참여위원회 성과 공유회 기념품' 명목으로는 무선충전기를 배포했는데 2580만원을 지출했다.
그러나 어떤 '성과'를 냈는지에 대해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방만하게 쓴 예산 지출 규모에 비해 성과물은 처참하다는 지적이다.
국교위는 지난 1차 워크숍서는 4쪽 분량의 결과 보고서를 냈다. 1박2일 3000만원을 쓰고 낸 성과물이다. 그나마 분량도 회차를 거듭할수록 적어졌다. 2차 워크숍에선 3쪽, 3차 워크숍에선 1쪽에 그쳤다.
이 중 대입·학생평가에 대한 분량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고등교육 관련 논의는 원론 수준의 내용으로 보고서가 채워졌다. '대학 서열화 및 사교육 문제 완화를 위해 구조 개편, 재정 지원, 지역 역할 강화, 대학 특성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음' 등의 식이다. 국교위 출범 3년 차에 한 논의라고 하기에는 빈약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혈세만 쓰고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강 의원은 "대한민국 교육의 중장기적 비전과 정책 대안을 제시해야 하는 국가교육위원회가 제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며 "내실 있는 운영과 실효성 있는 성과를 통해 국교위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